사회과학대학 [http://social.jj.ac.kr]
학과 기본정보

심리적 갈등, 인간관계, 학업이나 진로 등의 문제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를 돕기 위한 전문적 실천 학문인 '상담학'과 인간 이해를 위한 기초 학문인 '심리학'의 이론과 기법 교육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조력전문가를 양성하는 전공으로서, 전문상담교사,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임상심리사, 보육교사 등 각종 자격증을 목표로 한 스타트랙 및 카운슬링센터, 상담교육연구소, 상담실습실 등을 활용한 실습교육 등 학생들의 진로 목표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휴먼 서비스 분야의 전문 상담가 양성
대인관계 및 자아성장상담 전문가 양성
임상심리 및 정신건강 전문가 양성
진로-직업상담 전문가 양성
학업상담 전문가 양성
아동-청소년상담 전문가 양성
1학년
심리학개론, 상담과문화, 상담학개론, 건강심리학
2학년
상담이론과실제, 진로상담, 집단상담, 심리학개론, 부모교육및상담, 학습심리학, 성격심리학, 특수아상담, 가족상담, 발달심리학, 성심리학
3학년
심리평가, 상담기술, 상담행정실무, 심리통계, 청소년상담, 상담실습, 긍정심리학, 놀이치료, 이상심리학, 행동치료
4학년
노인상담, 임상현장실습, 임상심리학, 보육실습, 기독교상담, 수련활동과 상담
학술제 : 상담심리학과 학생들 간의 친목과 화합을 도모합니다. 타 대학 관련학과와의 학술적인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을 도모합니다. 다양한 주제의 학술적인 접근을 통해 식견을 넓히고 보다 풍성한 상담인으로서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기타 : 한국상담학회 연차대회
월별 전공행사
1학기 : (3월) 상담심리학과 개강모임 및 개강 M·T / (5월) LCSI 성격유형검사 워크샵 / (6월) 참만남 프로그램 / (7월) 4학년들 졸업여행
2학기 : (10월) 체육대회 / (11월) 학술제, 4학년 졸업여행, 기관방문
취득가능 전문자격
전문상담교사2급,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임상심리사, 청소년지도사, 미술치료사, 놀이치료사, 학업상담사, 사회조사분석사
졸업 후 취업 및 진로분야
중·고등학교 상담교사, 청소년상담기관·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 등의 전문상담사, 사설 상담교육기관 및 개업 상담소의 상담사, 기업체 연수원 또는 교육팀의 프로그래머, 심리검사 개발업체의 연구원 및 심리검사 담당자, 학생상담센터 및 취업지원센터의 전문상담사, 병원 및 기업체의 임상심리사
졸업생 주요 취업현황
정성현 : 한국자원봉사협의회
강충진 : 무주군 청소년지원센터
김수현 : 상주시교육지원청Wee센터
박정현 : 전주교육지원청
박지혜 : 익산금마어린이집
윤가은 : 대천가족상담센터
이슬기 : 부안초등학교(전문상담교사)
이연희 : 새오름언어심리발달센터
정지연 : 원광예술정보고등학교(상담교사)
황지선 : 익산교육지원청Wee센터
윤경선 : 조우심리상담센터
우리 학과의 강점
우리 학과에서는 다양한 상담과 심리분야에 관련된 자격증을 이수하기 위해 다양한 스터디가 실행되고 있습니다. (직업상담사, 청소년상담사, 임상심리사 등)
상담과 심리에 대한 이론은 물론 다양한 실습경험, 조별수업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대학 내에 다양한 실습기관을 두어 학생들에게 학업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산업체듣과 협약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직업관을 가지도록 합니다.
학우들과의 끈끈한 정을 위해 과동아리가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우리 학과와 어울리는 적성
상담분야에 관심이 많은 학생
심리분야에 관심이 많은 학생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은 하는 학생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일하고 싶은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