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 [http://engin.jj.ac.kr]
학과 기본정보

나노신소재공학과는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 사업인 나노기술을 주도할 인재를 양성한다. 일반화학, 일반물리, 수학 등의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머리카락 굵기의 30만분의 1에 해당하는 나노미터 굵기 및 크기의 탄소나노튜브, 나노입자 등의 소재를 제조하고 분석하는 분야를 교육시킨다. 또한 나노소재들의 응용분야를 교육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어떻게 나노기술이 접목되어 이 분야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한 첨단 지식을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 할 수 있는 기초를 구축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나노기술의 기초적 개념부터 나노기술의 최신 동향에 이르기 까지 나노기술 전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리나라 나노기술 및 전라북도 탄소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창조적 리더를 육성한다.
1학년
일반물리 및 실험, 일반화학 및 실험, 소재화학 및 실험, 대학수학, 공학Reading&Writing
2학년
소재물리화학 및 실험, 기초나노과학, 공업수학, 양자물리화학, 소재과학개론, 나노환경분석화학, 탄소나노소재개론
3학년
나노공학, 나노과학실험, 신소재공학 및 실험, 응용나노과학, 응용소재과학, 소재공학실험
4학년
나노공학특론, 나노과학동향, 반도체공학, 유기소재화학, 소재공학특론, X-선결정학 및 무기소재화학
학술활동
ㆍ전라북도청 지원 취업 연계 전문인력양성사업
“장학금도 받고 졸업 후 취업도 보장받게 됩니다. ”전라북도청 지원“취업연계형 특성화 과정”
전라북도가 주관하는“취업연계형 특성화 과정”사업에 본과가 “탄소”분야에 선정되어 운영
대학과 기업간의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며, 상호간의 윈-윈 할 수있는 전략
총 사업비 1억 7천만원으로 운영되며, 참여학생 전액 장학금 지원
본사업에 현재 참여학생은 총 23명으로서, 확정형 16명 조건형 7명으로 운영
현재 KIST 전북분원, (주) AFFC 외 7개 기업의 참여
유기태양전지 관련 국제협력 연구 (2009 - 현재)
TA사업(Teaching Assistant) : 나노신소재공학과에서는 매학기 전공과목 및 기초학력이 부족한 1-2학년을 대상으로 학과에서 개설하는 MSC(기초 및 R&W포함) 및 전공과목에서 대상과목을 선정하고, 우수한 3-4학년 및 대학원생을 보조교사로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월별 전공행사
1학기 : (3월) 나노신소재공학전공 OT(신입생환영회), MT 및 세미나 / (4월) 연구소 및 산업체 시찰 / (5월) 체육대회 및 대동제
2학기 : (9월) 개강 모임 / (11월) 학술제 / (12월) 졸업생과의 만남(홈커밍 데이)
취득가능 전문자격
가스, 건설재료시험, 공정관리, 금속(가공분야, 재료분야, 제련분야), 열관리, 세라믹, 산업안전, 품질관리, 비파괴검사, 방사선비안파괴검사, 초음파비파괴검사, 화공, 공업화학, 원자력, 사출금형설계, 응용지질, 전기, 정밀측정, 폐기물처리, 프레스금형설계, 화약류관리, 화약류제조 등
졸업 후 취업 및 진로분야
NT 관련 정부 국책 연구소
차세대반도체 관련 연구소 및 기업체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소 및 기업체
탄소소재 관련 기업체
태양전지관련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업체
대학원
졸업생 주요 취업현황
연구 개발직 취업 : 40%
생산 관리직 취업 : 40%
대학원진학 : 20%
개인 사업 및 미취업 : 0%
우리 학과의 강점
21세기를 지향하는 첨단 학과
학생들 개개인의 맞춤형 진로지도 및 취업 지도
세계적 연구역량을 갖춘 우수한 교수진
우리 학과와 어울리는 적성
5~10년 후 국가의 핵심 성장 동력산업을 선도하고자 비전이 있는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