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학대학 [http://med.jj.ac.kr]
전공 기본정보

미래사회의 유망직종 중 하나인 환경보건과학자와 환경보건관련기사를 배출하는 전공으로, 총 14개의 국가공인 1급 기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취업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다. 2011, 2012년 취업률 100%를 달성했다. 정규교육이외에도 비학점 특강, 튜터링, 외부초청특강 통한 전문화 교육을 실시하며, Star Track를 통한 자격증 대비반 및 전공프로젝트를 통한 심화전공 교육을 제공한다. 전라북도지정 환경방사선 융합기술 인력양성사업 참여 학생 학비전액 면제, 해외어학연수특전, 취업보장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교육목표는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유능한 환경보건과학자와 환경보건관련기사를 배출하는 것이다. 정직하며 창조적 사고를 갖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총 14개의 국가공인 1급 기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2011, 2012년 2년 연속 취업률 100%를 달성했다. 정규교육이외에도 비학점 특강, 튜터링, 외부초청특강 통한 전문화 교육을 실시하며, Star Track를 통한 자격증 대비반 및 전공프로젝트를 통한 심화전공 교육을 제공한다. 전라북도지정 환경방사선 융합기술 인력양성사업 참여하는 학생은 학비전액 면제, 해외어학연수특전, 취업보장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1학년
일반화학Ⅰ 및 Ⅱ, 일반생물학, 일반물리학, 건강과학개론, 환경보건학개론
2학년
환경분석화학 및 실험, 환경양론, 대기과학, 공중보건학, 물리화학, 미생물학 및 실험, 유기화학, 생태학
3학년
환경보건실험Ⅰ 및 Ⅱ, 수질관리Ⅰ 및 Ⅱ, 토양환경학, 폐기물관리, 환경기기분석, 대기오염관리, 환경법과 정책, 상하수도
4학년
토양지하수복원학, 실내공기오염론, 환경보건통계학, 유해폐기물관리, 작업환경관리 및 현장실습, 방사선융합기술개론, 위생학
학술활동
비학점특강 : 입학 전 겨울방학동안 기초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물리, 화학, 생물 과목의 기초 소양교육을 실시한다. 여름 및 겨울방학 기간을 통해 일반화학특강을 수강하여 자격증 및 전공과목의 기초를 다집니다.
초청강사세미나 : 전공 및 소양교육 관련 외부전문가를 초청하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비젼을 제시합니다.
월별 전공행사
1학기 : (3월) 연합 MT, 세미나, 졸업생과의 만남 / (4월) 전공 설명회 / (6~8월) 현장실습 학점제 실시(2~4학년)
2학기 : (9월) 희망전공 선택, 환경보건전공 MT / (11월) 학생회 선거 / (12월) 종강모임
취득가능 전문자격
수질기사, 대기기사, 토양기사, 폐기물기사, 소음 및 진동 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정수시설운영관리기사, 화공기사, 화학분석기사, 환경측정분석사, 위험물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사, 위생사, 방사선동위원소취급자 일반면허 자격취득
졸업 후 취업 및 진로분야
전공관련 전문분야 : 환경 보건관련연구소 및 기업체, 환경관리공단, 정부출연연구소, 수자원공사 및 정수장, 공무원
졸업생 주요 취업현황
환경관리공단 분야
유주현(06학번 환경관리공단)
김수영(09학번 환경부 새만금지방환경청), 박지선(09학번 환경부 새만금지방환경청)
환경 및 보건관련 연구소 및 기업체 분야
전진(02학번 서해환경연구소), 고일권(02학번 (주)휴먼피아)
이창주(05학번 한국정수연구소)
서상욱(06학번 (주)유성테크), 신광선(06학번 (주)지구엠비테크)
강동국(07학번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이현준(07학번 (주) 자연환경연구소)
한보영(08학번 전북보건환경연구원)
수자원공사 및 정수장분야
이연호(05학번, 고산정수장), 최선영(08학번, 고창하수종말처리장)
우리 전공의 강점
전라북도 취업 연계형 특성화 사업으로 연간 2억원 지원 확보로 10명에 대한 장학금 및 취업 지원이 확정되었습니다.
플라즈마 소각로 원천기술 확보 및 위촉기관으로 데모장비를 구축하였습니다.
실험실 및 고가의 환경 분석 실습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전공실습 교육 내실화 및 자격증 2차 시험 대비에 만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희망에 따라 교수 연구실에 입실하여 전공실무 경력을 향상시키고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 전공과 어울리는 적성
생물이나 화학과목에 흥미있어 하며 주변 사물을 관찰하고 생성원리에 관심 있는 학생, 환경오염, 위생상태, 환경정책에 관심있고 환경보건전공에 대한 열정이 있는 학생이 모였으면 좋겠습니다.